대한민국에서 소득활동을 하시는 분이라면 누구나 국민연금에 가입을 하셨을텐데요.
노후 준비를 위해 열심히 내고 있는 데, 나의 납부액과 수령액 어디서 확인하나요?
아래 내용을 통해 쉽고 간편하게 나의 국민연금 납부액과 예상수령액을 조회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방법
국민연금 납부액은 NPS전자민원서비스 또는 국민연금 앱(내 곁에 국민연금)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조회방법은 NPS전자민원서비스 또는 국민연금 앱 > 로그인 > 가입내역조회 에서 가능하니, 아래 링크를 통해 간편하게 나의 가입기간 및 납부액을 조회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방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NPS전자민원서비스 또는 국민연금 앱(내 곁에 국민연금)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NPS전자민원서비스 > 개인 > 조회 > 예상연금액 조회 또는 예상연금 모의계산에서 조회가 가능하니, 아래 링크를 통해 간편하게 나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은 본인의 가입기간 및 가입 중 평균소득액,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액을 기초로 계산됩니다.
참고로 2019년 9월 기준 20년 이상 가입자들의 평균수령액은 월 약 92만 4천원입니다.
국민연금 수급 연령
국민연금(노령연금)은 출생연도에 따라서 수급 연령이 달라집니다.
아래 표를 참고하셔서 여러분의 수급연령을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1952년생 | 만 60세 |
1953~1956년생 | 만 61세 |
1957~1960년생 | 만 62세 |
1961~1964년생 | 만 63세 |
1965~1968년생 | 만 64세 |
1969년생~ | 만 65세 |
국민연금 납부기간
국민연금은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이면 가입대상이 되는데, 최소 가입기간 10년을 채웠을 때 수급 연령이 되면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임의가입과 임의계속가입 제도로 그 이전과 이후에도 별도 신청에 의해 가입이 가능합니다.
임의가입이란?
소득이 없는 만 27세 미만의 학생이나 무소득 배우자, 군인, 기초수급자 등 국민연금 의무가입 대상이 아닌 분들이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는 제도
임의계속가입이란?
만 60세가 넘은 가입자 중 최소 가입기간을 채우지 못한 분들이나, 혹은 가입기간은 채웠지만 더 많은 연금을 수급받길 원하는 분들이 신청하여 국민연금 가입을 유지하는 제도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 기준 등 총정리 (25년 3월 31일까지) (0) | 2025.02.11 |
---|---|
다이소몰 재고조회, 반품신청, 픽업서비스 등 총정리 (0) | 2025.02.06 |
자녀세액공제 나이, 서류, 주의사항 등 총정리 (0) | 2025.02.06 |
결혼세액공제 서류 및 연말정산 꿀팁, 최대 100만원 공제 받자! (0) | 2025.02.06 |
온누리상품권 환급 15% 총정리(환급기간, 구매 방법, 사용처) (0) | 2025.02.05 |
주거안정장학금 월 20만원 신청방법, 지원대상 알아보기 (0) | 2025.02.05 |
조부모돌봄수당 신청방법 및 지원대상(서울, 경기, 울산 최신내용) (0) | 2025.02.04 |
파주시 민생회복지원금 총정리(신청방법, 지원금 등) (0) | 2025.02.03 |